Kim young-soo
Work Note for <Monad> - Kim, Young- soo (K-Soo)
The series of <Monad> is a work that has begun with the inspiration from the song 'Where are we going from here' by the British music band Blackmore's Night. It’s a song beginning with ‘On a long road, miles to go. It's winding and cold and it's covered with snow. But I ask you what we all want to know. Where are we going from here?’ In addition, the mysterious image of the song has reminded me of the curiosity on the ‘ancient mystery’ that I had when I was a child staring at the stars in the night sky.
Countless images collected through googling resemble to the stars in the sky at night. Like stars, they also have different place and different time respectively. They also look alike from a distance, but when they come closer they reveal different daily lives and stories. Usually interested in the universe, I wanted to express the 'primeval energy' held by starlight. The <Monad> work begins with imagining the ‘infinite past’, i.e. the ‘beginning of the universe’. The <Monad> work collects the images scattered in the space of internet through ‘googling[1]’ and makes them into a work. Unlike conventional photographic techniques, it uses an image montage method that condenses thousands of images. The images crushed into tiny particles are tangled and overlapped each other, forms disappear, and they become an abstract shape stained with colors and lines. Digital images are the objects that have been shaped from things into colors (pixels).
<Monad> disintegrates the shape of the embodied image and returns it to its original color. Different from the usual photography procedure that expresses concepts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the world, this is a way to leave only 'color' in reverse from the existing images mediated by the concept. Mediated concepts exist only in the procedure but are perceived, even invisible, to have been melted into color. The left 'color' that has been purified is symbolized as a 'monad' from which material elements have been removed. <Monad> is a concept that was determined as the ‘basic unit’ of all beings by Leibnitz, a German philosopher in the 17th century. According to him, 'monad' is simple and indivisible, and unlike the atom, it is an immaterial substance and its essential function is representation. Representation is what the external thing is included in the internal thing, and <Monad> has relation to diversity with outer world by this function despite of its simplicity. The <Monad> work is a try to imagine the internal thing, i.e. the true nature of the world, through the images symbolized externally at this moment. As a way to do this, we would look for the traces in the shape of the image appearing in the phenomenal world, and so I use the method of eliminating the shape through the torsion of images and leaving only the color that is the trace (feeling) of images. Coloring work adopts ORE Method[2] which is a unique digital imaging process only by the artist.
Most of the knowledge of modern people comes from 'googling’. Regardless of fields, they come to use google search without fail when they have something curious. It contains all the present knowledge and information including those of the past and provides most of phenomena of our society in real time. The current appearance we recognize is one that is reflexed through the window of ‘googling’. Whether true or not, the reflexed appearance is the appearance and phenomenon of our society. The <Monad> work is to take photos of the world not through the lens of camera but through ‘googling’, the lens of modern people’s recognition. The distinction between fiction and reality is ambiguous in the world of ‘googling’, and the virtual world becomes reality and even rules us. The virtual images are ‘desire’ and ‘interpretation of reality’ rather than ‘false’. The task of <Monad> refuses ‘it has existed’ which is the ontological property of images, but paradoxically makes us to imagine the root of the existence by removing the evidence of the being (shape). Birth and death of beings are not only the absolute truth of the world but the truth of unknown world that human beings cannot know. The unknown truth is not what to be perceived but to be imagined. Casting the question ‘Where we came from and where we are going to?’, <Monad> is providing us with a stage to think of the ‘existential value of men’ who get being weak by the digital civilization.
[1] 'Googling' means all internet search methods including Google.
[2] As the 7 kinds of image processing process of the researcher, ORE means the method that twists images and leaves only color.
<모나드(2017)> 작업노트 - 김영수(K-Soo)
<모나드(2017)> 시리즈는 영국의 음악밴드 ‘Blackmore’s Night’ 의 ‘Where are we going from here'라는 노래에서 영감을 얻어 시작된 작업이다. “하얗게 눈 덮인 춥고 바람 부는 , 멀고먼 여정의 길에서, 우리 모두가 알고 싶은 의문 ,,, 이제 우리 어디로 가는가?” 로 시작되는 노래이다. 또한 그 노래의 신비스런 영상은 어린 시절 밤하늘의 별을 보며 가졌던 ’태고의 신비‘에 대한 궁금증을 환기시켜 주었다. 구글링으로 채집된 수많은 이미지들은 밤하늘의 별들을 닮았다. 별들처럼 그들도 각기 다른 장소 다른 시간을 갖고 있다. 그들도 멀리서 보면 비슷하게 보이지만 가까이 다가서면 각기 다른 일상과 사연을 드러낸다. 평소에 우주에 관심이 많았던 나는 별빛이 간직한 ’태고의 에너지‘를 표현하고 싶었다. <모나드(2017)> 작업은 ’무한과거‘ 다시 말해 ’우주의 시작‘을 상상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모나드(2017)>작업은 인터넷 공간에 흩어져있는 이미지를 ‘구글링’으로 채집하여 작품화한다. 일반적인 사진기법과는 달리 수천 개의 이미지를 응축(condensing)시키는 이미지 몽타주 방식을 사용한다. 작은 입자로 분쇄된 이미지들은 서로 엉키고 중첩되어 형체는 사라지고 색과 선들로 얼룩진 추상적 형태가 된다. 디지털 이미지는 사물을 색(픽셀)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모나드(2017)>는 형상화된 이미지의 형체를 해체시켜 다시 원래의 색으로 회귀 시킨다. 이는 세상의 재현을 통해 개념을 표현하는 일반적인 사진절차와는 달리, 개념으로 매개된 기존 이미지들로부터 거꾸로 ‘색’만을 남기는 방식이다. 매개된 개념은 단지 절차 속에만 존재하며, 보이지 않지만 색채 속에 녹아 들어간 것으로 인식된다. 정화되어 남겨진 ‘색’은 물질적인 요소가 제거된 ‘모나드’를 상징한다.
‘모나드’는 17세기 독일 철학자 라이프니츠가 모든 존재의 ‘기본 실체(unit)'로서 정의한 개념이다. 그에 따르면 ‘모나드’는 단순하고 불가분(不可分)한 것이며, 원자와는 달리 비물질적인 실체로서 그 본질적인 작용은 표상이다. 표상이란 외부 것이 내부의 것에 포함된 것으로, ‘모나드’는 이 작용에 의해 자신의 단순성에도 불구하고 외부와 다양성에 관계를 갖는다. <모나드(2017)>작업은 현시점에 외부로 표상된 이미지를 통해 내부의 것 , 다시 말해 세상의 본질을 상상해 보려는 시도이다. 이에 대한 방법으로 현상계에서 나타나는 이미지의 형상에서 그 흔적을 찾아보는 것인데, 군집된 이미지들을 비틀림을 통해서 형체는 없애고 그 흔적(느낌) 인 색채만 남기는 방식을 사용한다. 색채작업은 작가만의 독특한 디지털 이미징 프로세스인 ORE Method 을 적용한다.
현대인의 대부분의 지식은 ‘구글링’을 통해서 얻어진다. 분야와 상관없이 궁금한 것이 있으면 어김없이 구글 서치를 하게 된다. 그곳에는 과거를 포함한 현재의 모든 지식정보가 담겨 있으며, 사회의 대부분의 현상들을 실시간 제공하여 준다. 우리가 인식하는 현실의 모습은 ‘구글링’이라는 창을 통해 비쳐진 모습인 것이다. 비쳐진 모습이 진실이건 거짓이건 그것이 우리사회의 모습이고 현상이다. <모나드(2017)>작업은 카메라의 렌즈 대신 현대인의 인식의 렌즈인 ‘구글링’을 통해 세상을 촬영하는 것이다. ‘구글링’의 세계는 가상과 실제의 구분이 모호하고, 가상이 현실이 되어 우리를 지배하기도 한다. 가상 이미지들은 ‘거짓’ 이라기보다는 ‘욕망’이며 ‘현실의 해석’이다. <모나드2017>작업은 이미지들의 존재론적 특성인 ‘그것이 존재했음’을 거부하고, 그 존재의 증거(형상)를 없앰으로써 역설적으로 그 존재의 원인을 상상하게 한다. 존재의 원인인 생멸(生滅)은 세상의 절대적 진리 이기도 하지만 인간이 알 수없는 미지의 진리이기도 하다. 미지의 진리는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상상 하는 것이다. <모나드2017>는 ‘우리는 어디서 와서 그리고 어디로 가는가?’의 물음을 던지고, 디지털문명으로 미약해지고 있는 ‘인간의 존재 가치’를 사유하는 장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