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Monadic Photography

The substantial principle,
as it constitutes with matter
a truly one substance,
or a unit by itself,
what I call ‘monad’.
Leibniz

 

Kim Young-Soo is this Korean artist who is carrying out a veritable conceptual and aesthetic revolution in photography. This is why it is essential to look at and understand his work. Conceptual revolution, because he thinks the image according to a paradigm marked by Leibniz, Deleuze, Baudrillard and Foucault. An aesthetic revolution, because from his thought of the image, he made a radically new work.We can therefore speak of an artistic revolution.Three reasons to confront Kim Young-Soo’s work.

 

The visual appearance of these photos

 

A first analysis could speak of his abstract photos, as we already know. But what is an abstract photo? Isn’t there already a risk of confusion when we speak of “abstraction” in painting? Because what is more concrete than a so-called “abstract” canvas? Shouldn’t we speak better, instead of “abstraction”, of “non figuration”, while insisting on the concreteness of the object in front of us, be it a painting or a photo? On the one hand, it would be suitable for correctly apprehending the photograph of Kim Young-Soo; on the other hand, it corresponds to the paradigm shift that governs this artist and his work with regard to his problematic of photography and image, representation and figuration. In fact, photography is not, as Barthes hoped, “it was”, evidence and clue; this must be left to the semioticians who need to believe in reality and “the” truth. Photography is more about “it was played “ and this opens up to art and aesthetics: play with the theater, play with the unconscious, play with the constituent elements of a work; Wasn’t Bach playing with the notes too?

 

So, we could first talk about the game with colors for these photos of Kim Young-Soo: variations sometimes with blues, sometimes with beige, sometimes with greens, sometimes with reds, sometimes with several different colors. Music for the eye: re-reading Schopenhauer ... “Color is the glory of light. » wrote Guitton , a philosopher, but also a painter. Thus, Kim Youg-Soo makes us understand light thanks to color; not in a mimetic way, but in a way that is both conceptual and sensitive. But we are not yet in beauty. Let us listen to the great Kandinsky in Du Spirituel dans l’Art and in painting in particular; he enlightens us indirectly on the reception of Kim Youn-Soo’s photos: “Color is a means of exercising a direct influence on the soul. Color is the touch. The eye is the hammer. The soul is the piano with numerous strings. The artist is the hand which, by the proper use of this or that touch, sets the human soul in vibration. The harmony of colors must be based solely on the principle of effective contact with the human soul. “Color lets you touch the soul: you go from the visual to the spiritual. The harmony of colors in our photographer is therefore an opening to spiritual beauty. “Beauty is not in the colors, but in their harmony » Wrote Proust; our photographer makes us experience it; because he worked this harmony upstream. And in a unique way with its revolutionary ORE method.

 

But also play with what looks like the wefts of a fabric. This allows a massive opening to the imagination: of the artist? Certainly ; of the spectator? Certainly. “When the imaginary is real, the real is imaginary; where there is nothing, there is everything. Is it written in The Dream in the Red Pavilion . And through the imagination of the work of art, the problem of reality is posed: it is the problem of our photographer; it is from and around him that his work is organized. With Kim Young-Soo, we move from an ordinary mimetic photography to a photography that questions reality from the image and the imaginary; from this appearance of nothing, we can apprehend the whole. Dialectic by image and not duplication by image. And, with our photographer, things get more complex, and that’s good; Deleuze, a philosopher who nourishes Kim Young-Soo, wrote: “The imaginary is not the unreal, but the indiscernibility between the real and the unreal ”. It is this indecision that allows us a desire and erotic approach to the image - desire and eroticism not being in the image, but in the imagining subject; nothing is worse than mimetic data, it is the corpse of life, it is its pornography. So real / imaginary dialectic and movement in front of the work; the work generates a story of its reception: this reception is an investigation around a secret. John the Square, the great writer of the secret services, understood it and made us understand it: “First, comes the imagination, then the quest for reality. And then back to the imagination. ” Kim Young-Soo allows us to

 

The philosophical questioning through these photos

 

To understand these photos, you need to know both the metaphysical conception of this photographer and the technical way in which he takes his photos. What challenges and sets this artist in motion is the existential and metaphysical question “Where do we come from?” Who are we ? Where are we going ? - to use the title of Gauguin’s painting of 1897-8 or that of the song by Blackmore’s Night. It all starts with a mystery - that of our being in the world -, continues with a mystery - that of the world -, to end in a mystery - that of photography. Because photography is a mystery and not an enigma: the enigma, we solve it; we don’t solve the mystery, we work with it and we work it. Certainly, a photo is a trace, but not a clue; this is why it opens onto a possibility of art, the semiological approach missing the essential, namely its mystery. Kim Yougsoo is therefore a tireless worker artist of mystery, of mysteries; and his images force us to explore the mystery, their mystery, just like the paintings of Rothko or the symphonies of Mahler. Certainly, a photo is a trace, but a trace of what? Perhaps only of an existence, even only of existence; a trace of a mystery. And by this photographic mystery, this artist gives us back our human dignity: we are not translators of signs, like a robot inhabited by an artificial intelligence, but interpreters surprised and sometimes amazed by this mystery: art makes us man in our greatness and our weakness; thanks to a work, we dare to meet the essential, namely the mystery.

 

But, with digital technology, our relationship with the world has changed: it is googled. Kant told us that time and space are the a priori forms of our sensitivity; one could almost add that Google is a third technological-cultural form of this sensitivity. But aesthetics has for its object this relationship to the sensitive implemented in a specific way by art. What matters in Google is perhaps not so much all the information, images and messages that it collects and delivers to us as the medium itself, as this way of transforming our relationship to the world, to the visual, to the image. And that’s where Kim Young-soo leaves to do the work, so to give us both to see, to think and to question ourselves; and it is precisely through questioning that we incarnate humanity in the face of primitive and archaic energy, therefore to what refers to the oldest and above all to the most fundamental, in particular to the origin of the universe. Metaphysical approach of this artist if we remember that the three objects of metaphysics are theSelf, the World and God.

 

To do this, Kim Young-soo invents a method - ORE: he condenses a considerable number of images given by Google, crushes them, combines them and makes visual objects from pixels and colors. He therefore abandoned the representative conception that usually feeds photography, to enter into a new conception of image - and, consequently, of art. The artist then makes explicit reference to the philosopher-mathematician of the 17th-18th centuries Leibniz, because, thanks to the latter, he goes from photography as representation to photography as expression; this is why he uses the Leibnizian term “monad” to name one of his series. Indeed, for the philosopher, the monad designates the perfect “unity” (μονάς monas), the absolute principle, therefore unrelated: both the supreme unity as the One and the minimal unity, because there is a correspondence between the Supreme Monad and the monads which are reflections of the latter ¬ macrocosm and microcosm. For Leibniz, the Universe is therefore made up of monads and compounds of monads and each monad expresses the universe; each is a living mirror, representative of the universe, from their point of view. Each photo of Kim Young-soo is an expression of the world, even if, especially if it does not resemble the usual image of the objects of the world.

 

The work of photographer Kim Young-soo is rich and complex, sensitive and intellectual. It forces us to think differently and see differently. It allows a double distancing vis-à-vis the real world and the world of art. Besides creating an original and singular universe which allows the viewer to see differently, to imagine differently, to be otherwise.

 

You have to immerse yourself in Kim Young-soo’s work: we’ll come out with something else.

 

François Soulages Paris,

spring 2020

한국 작가 김영수는 사진에 대한 개념적이고 미학적인 혁명을 실행한다. 우리는 그의 작품, 특히 〈64괘〉(2019)를 주시하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작업은 우선 개념적인 혁명이다. 왜냐하면 그는 이미지라는 개념을 라이프니츠, 들뢰즈(Deleuze), 보드리야르(Baudrillard), 푸코(Foucault)의 패러다임에서 생각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이 작업은 미학적이다. 왜냐하면 이미지에 대한 그의 고찰로부터, 그는 완전히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이를 통해 우리는 예술적 혁명에 대해서도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그의 작품에서 세 가지 혁명─개념적, 미학적, 예술적─을 마주하게 된다.

 

 

사진의 시각적 외관

 

〈64괘〉는 64장의 컬러 사진 모음이다.

이 작품에 대한 첫 번째 접근으로 우리는 64장의 추상 사진(photos abstraites)에 대해 이야기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추상 사진이란 무엇인가? 우리가 추상화(abstraction)에 대해 언급할 때에는 이런 문제가 없지 않은가? 이 사진에서 ‘추상적(abstraite)’ 그림보다 더 구체적인 부분은 무엇인가? 우리는 ‘추상화’에 대해 이야기하는 대신에 그것이 회화이건 사진이건 간에 마주하고 있는 대상의 구체성에 초점을 두고 ‘비구상(non figuration)’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낫지 않을까? 한편으로, 그것은 김영수 작가의 사진을 정확하게 이해하도록 하며, 다른 한편으로, 그것은 사진과 이미지에 대한, 그리고 재현과 구상에 대한 그의 문제제기와 관련하여, 이 예술가와 그의 작업을 지배하는 패러다임의 변화에 해당한다. 사실, 사진은 바르트가 기대한 것처럼 “그것은 존재했음(ça a été)”이나 증거(preuve), 혹은 표시(indice)가 아니다. 이러한 관점들은 현실과 진실 속에서 믿음을 추구하는 기호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하지만 사진은 오히려 “그것은 연출되었음(ça a été joué)”에 속하며, 이를 통해 예술과 미학으로 나아간다. 이는 연극에서의 연기(jeu), 무의식의 유희(jeu), 작품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역할(jeu)과 맥을 함께한다. 바흐(Bach) 역시 음을 연주한 것 아닌가?

따라서 우리는 우선 김영수 작가의 사진에서 색상의 유희를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그의 작품에서 파란색의 변화, 베이지색의 변화, 녹색의 변화, 빨간색의 변화, 때로는 상이한 여러 색의 변화는 눈을 위한 변주곡(曲)이 되며, 쇼펜하우어(Schopenhauer)를 재독한다. 철학자이자 화가인 기통(Guitton)은 “색은 빛의 은총”이라고 말한다. 이처럼 김영수 작가는 우리가 색을 통해 빛을 이해하도록 한다. 그는 모방을 통해서가 아니라 개념적이고 감각적인 방식을 통해 그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우리는 아직 미(beauté)에 진입하지 못했다. 칸딘스키(Kandinsky)의 저서 『예술에서의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는 간접적으로 우리가 김영수 작가 사진을 어떻게 수용하는지에 대해 설명해준다. “색은 영혼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색은 건반이고, 눈은 해머이며, 영혼은 여러 개의 선율을 가진 피아노이다. 예술가는 사용법에 알맞게 건반을 두드림으로써 인간의 영혼을 울리게 하는 손이다. 그러므로 색의 조화는 오직 인간의 영혼을 효율적으로 건드리는 원리에 기초를 두어야만 한다.” 색은 영혼을 울린다. 우리는 시각적인 것에서 영혼적인 것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김영수 작가의 사진에서 색의 조화는 영혼적 미를 개시한다. 프루스트(Proust)에 따르면, “미는 색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조화에 있다.” 김영수 작가는 이를 증명한다. 왜냐하면 그는 이미 이러한 조화에 대해 작업해왔다. 그리고 그의 참신한 디지털 이미징 프로세스 ORE 방식은 굉장히 독창적이다.

그러나 이는 직물 짜임의 유희처럼도 보이며, 이는 예술가의 상상계이면서 관람자의 상상계를 향한다. 『홍루몽』에서 언급되었듯, “상상과 실재의 구분이 모호해질 때, 거기에는 아무것도 없는 동시에 모든 것이 있다.” 그리고 예술 작품의 상상계를 통해, 실재에 대한 문제가 놓여진다. 이것이 김영수 작가가 다루는 핵심 문제이며, 바로 그로부터 그리고 그 주변에서 그의 작품은 조직된다. 우리는 이 작가와 함께 모방적인 평범한 사진에서 이미지와 상상적인 것을 통해 실재에 대해 의문을 던지는 사진으로 이동한다. 어떠한 외관도 발견할 수 없는 그의 사진으로부터 우리는 모든 것을 이해하게 된다. 이미지를 통한 변증법과 이미지를 통한 비(非) 복제. 그리고 이 사진가를 통해, 사태는 복잡해진다. 김영수 작가에게 영감을 준 들뢰즈는 적고 있다. “상상적인 것은 비현실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것은 실재와 비현실 사이의 식별불가능성이다.” 이러한 비결정은 우리를 이미지에 대한 욕망적이고 에로티시즘적인 접근으로 인도한다. 여기에서 욕망과 에로티시즘은 이미지 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상상하는 주체에게 있다. 무(無)는 모방을 통해 주어진 것보다 못한 것이 아니다. 그것은 삶의 잔해이며, 포르노이다. 즉, 실재와 상상적인 것의 변증법이며, 작품을 마주한 움직임이다. 작품은 수용을 통해 하나의 이야기를 발생시킨다. 이 수용은 비밀에 대한 조사이다. 저명한 스파이 소설가 존 르 카레(John le Carée)는 그것을 이해하고 있었으며, 우리가 그것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우선 상상계에 진입하고, 다음으로 실재계를 탐구하라. 그리고 다시 상상계로 돌아오라.” 김영수 작가는 우리가 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사진을 통한 철학적 질문

 

이 사진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진가의 형이상학적 개념과 그의 기술적 방식을 동시에 인식해야만 한다.

이 작가에게 반향을 일으키고 이 작가를 움직이게 하는 것은 실존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질문이다.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이는 화가 고갱(Gauguin)의 1897년 작품의 제목이기도 하며, 블랙모어스 나이트(Blackmore’s Night)의 노래 제목이기도 하다. 모든 것이 (사진의) 미스터리(mystère)에 도달하고자, (세계-내-존재(être au monde)로서의) 미스터리를 통해 시작되며, (세계의) 미스터리에 의해 진행된다. 왜냐하면 사진은 미스터리이지 수수께끼(énigme)가 아니다. 수수께끼는 우리가 풀 수 있는 것인 반면, 미스터리는 우리가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가지고 작업하고 그것을 가공하도록 한다. 한 장의 사진은 분명 흔적(trace)이지만 표시가 아니다. 그렇게 때문에 사진은 예술의 가능성으로 통한다. 기호학적 접근은 핵심, 즉 미스터리를 빗겨가지만, 김영수 작가는 미스터리를 끊임없이 다루며, 그의 이미지들은 우리가 미스터리를 탐험하도록 한다. 이러한 미스터리는 마치 로스코(Rothko)의 회화나 말러(Mahler)의 교향곡과 같다. 확실히 한 장의 사진은 흔적이다. 그런데 무엇의 흔적인가? 그건 아마도 어떠한 존재의 흔적이며, 특정한 존재의 흔적일 것이다. 다시 말해, 미스터리의 흔적이다. 그리고 이 사진적 미스터리를 통해, 이 예술가는 우리에게 인간의 존엄성을 다시 부여한다. 우리는 기호의 해독자나 인공지능을 가진 로봇이 아니다. 우리는 기호에 대해 놀라거나 때로는 감탄하는 해석자이다. 예술은 우리를 우월감과 열등감에 빠진 인간으로 만든다. 예술 작품 덕분에 우리는 핵심에 더욱 가까워지며, 미스터리에 더 다가간다.

그러나 디지털을 통해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이해방식은 변화하였다. 세계는 인터넷 검색을 통해 이루어진다. 칸트에 따르면 시간과 공간은 우리 감각 능력의 선험적 형태라고 하였다. 우리는 구글을 이러한 감각 능력의 기술-문화적 형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미학 역시 예술에 의해 특수한 방식으로 생산된 감성적인 것을 목표로 한다. 구글에서 중요한 것은 그것이 다루는 정보나 이미지, 메시지, 혹은 그 매체 자체가 아니다. 오히려 세계에 대한, 시각적인 것에 대한 그리고 이미지에 대한 우리의 이해방식을 변화시키는 방법이다. 그리고 거기에서부터 김영수 작가는 작품을 만들기 위해, 달리 말해 우리가 보고 고찰하고 질문하도록 하기 위해 출발한다. 우리는 바로 질문을 통해 원초적이고 고전적인 힘─즉, 가장 오래되고 근본이 되는 것, 특히 우주의 기원─을 마주한 인간성을 구현한다. 이 예술가의 형이상학적 접근은 우리에게 세 가지 형이상학의 목표, 자아/세계/신을 상기시킨다.

그런 이유에서 김영수 작가는 ORE 방식을 발명했다. 그는 구글에서 얻은 방대한 양의 이미지들의 해상도를 조절하고, 압축하고, 조합함으로써 픽셀과 색상으로 구성된 시각적 대상을 만들어낸다. 따라서 그는 사진이 대상의 재현이라는 관습적인 개념을 포기하고, 이미지와 예술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선택한 것이다. 이 예술가는 철학자이자 수학자인 라이프니츠를 참조하여, 재현으로서의 사진에서 표현으로서의 사진으로 이동한다. 그러한 이유로 그는 자신의 연작 중 하나에 라이프니츠의 용어 ‘모나드’라는 이름을 붙였다. 사실 철학자에게 모나드는 완전무결한 ‘단자(μονάς, monas)’, 절대적인 근원, 즉 무관(無關)을 의미한다. 이는 숫자 1과 같이 지고의 단위인 동시에 최소의 단위가 된다. 왜냐하면 대우주와 소우주의 관계처럼, 지고의 단자와 그것을 반영하는 다수의 단자가 있기 때문이다. 라이프니츠에게, 우주는 단자들로 형성되고 구성되며, 각각의 단자는 우주를 표현한다. 각각의 단자는 자신의 관점에 따라 우주를 보여주는 살아있는 거울이다. 비록 김영수 작가의 사진이 세계의 대상과 유사해보이지 않더라도, 그의 사진 한 장 한 장은 세계에 대한 표현이다.

이처럼 예술가 김영수의 작품은 풍부하고 복합적이며, 감성적이고 지성적이다. 그의 작품은 우리가 사진 이미지에 대해 다른 방법으로 생각할 것을, 다르게 볼 것을 강요한다. 또한 그의 작품은 실재 세계와 예술 세계에 관하여 이중적 거리를 두고 있다. 게다가 그의 작품은 관람자가 다르게 보고, 다르게 상상하고, 다르게 존재할 수 있도록 하는 독창적이고 유일한 우주를 창조해낸다.

김영수 작가의 작업에 몰입해보도록 하자. 우리는 다른 것을 발견할 것이다.

 

 

2020년 봄. 파리에서.

프랑수아 술라주,

 

La photographie monadique de Kim Young-Soo

 

 

Le principe substantiel,

en tant qu’il constitue avec la matière

une substance véritablement une,

ou une unité par soi,

est ce que j’appelle ‘monade’.

Leibniz[1]

 

 

Kim Young-Soo est cet artiste coréen qui opère une véritable révolution conceptuelle et esthétique de la photographie. C’est pourquoi il est capital de regarder et de comprendre son œuvre, en particulier Schèmes 64.

Révolution conceptuelle, parce qu’il pense l’image selon un paradigme marqué par Leibniz, Deleuze, Baudrillard et Foucault. Révolution esthétique, parce qu’à partir de sa pensée de l’image, il fait une œuvre radicalement nouvelle.

On peut, en conséquence, parler d’une révolution artistique.

Trois raisons de se confronter à l’œuvre de Kim Young-Soo.

 

 

L’apparence visuelle de ces photos

 

                Schèmes 64 est un ensemble de 64 images photographiques en couleur.

                Une première analyse pourrait parler de 64 photos abstraites, comme on en connaît déjà. Mais qu’est une photo abstraite ? N’y a-t-il pas déjà un risque de confusion quand on parle d’« abstraction » en peinture ? Car qu’est-ce qui est plus concret qu’une toile dite « abstraite » ? Ne faudrait-il pas mieux parler, au lieu d’« abstraction », de « non figuration », tout en insistant sur la concrétude de l’objet face auquel nous sommes, que ce soit une peinture ou une photo ? D’une part, cela conviendrait pour faire appréhender avec justesse la photographie de Kim Young-Soo ; d’autre part, cela correspond au changement de paradigme qui gouverne cet artiste et son œuvre quant à sa problématique de la photographie et de l’image, de la représentation et de la figuration. En fait, la photographie ne relève pas, comme l’espérait Barthes, du « ça a été », de la preuve et de l’indice ; il faut laisser cela aux sémioticiens qui ont besoin de croire dans la réalité et « la » vérité. La photographie relève plutôt du « ça a été joué[2] » et cela ouvre à l’art et à l’esthétique : jeu avec le théâtre, jeu avec l’inconscient, jeu avec les éléments constitutifs d’une œuvre ; Bach ne jouait-il pas, lui aussi, avec les notes ?

                Ainsi, on pourrait parler d’abord du jeu avec les couleurs pour ces photos de Kim Young-Soo : variations tantôt avec les bleus, tantôt avec les beiges, tantôt avec les verts, tantôt avec les rouges, tantôt avec plusieurs couleurs différentes. Une musique pour l’œil : relire Schopenhauer… « La couleur est la gloire de la lumière. »écrivait Guitton[3], philosophe, mais aussi peintre. Ainsi, Kim Youg-Soo nous fait appréhender la lumière grâce à la couleur ; non pas de façon mimétique, mais de façon à la fois conceptuelle et sensible. Mais nous ne sommes pas encore dans la beauté. Écoutons le grand Kandinsky dans Du Spirituel dans l'art et dans la peinture en particulier ; il nous éclaire indirectement sur la réception des photos de Kim Youn-Soo : « la couleur est un moyen d'exercer une influence directe sur l'âme. La couleur est la touche. L'œil est le marteau. L'âme est le piano aux cordes nombreuses. L'artiste est la main qui, par l'usage convenable de telle ou telle touche, met l'âme humaine en vibration. L'harmonie des couleurs doit reposer uniquement sur le principe de l'entrée en contact efficace avec l'âme humaine. » La couleur permet de toucher l’âme : on passe du visuel au spirituel. L’harmonie des couleurs chez notre photographe est donc ouverture à la beauté spirituelle. « La beauté n'est pas dans les couleurs, mais dans leur harmonie. » écrivait  Proust ; notre photographe nous le fait éprouver ; car il a travaillé en amont cette harmonie. Et de façon unique avec sa méthode révolutionnaire ORE.

                Mais, jeu aussi avec ce qui ressemble aux trames d’un tissu. Cela permet une ouverture massive à l’imaginaire : de l’artiste ? Certainement ; du spectateur ? Assurément. « Quand l’imaginaire est réel, le réel est imaginaire ; là où il n’y a rien, il y a tout. » est-il écrit dans Le Rêve dans le pavillon rouge[4]. Et par l’imaginaire de l’œuvre d’art, le problème du réel est posé : c’est le problème de notre photographe ; c’est à partir et autour de lui que son œuvre s’organise. Avec Kim Young-Soo, on passe d’une banale photographie mimétique à une photographie qui interroge le réel à partir de l’image et de l’imaginaire ; à partir de cette apparence de rien, on peut appréhender le tout. Dialectique par l’image et non duplication par l’image. Et, avec notre photographe, les choses se complexifient, et c’est bien ; Deleuze, philosophe dont se nourrit Kim Young-Soo, écrivait : « l’imaginaire ce n’est pas l’irréel, mais l’indiscernabilité entre le réel et l’irréel.[5] » C’est cette indécision qui nous permet une approche désirante et érotique de l’image – le désir et l’érotisme n’étant pas dans l’image, mais dans le sujet imaginant ; rien n’est pire que le donné mimétique, c’est le cadavre de la vie, c’est sa pornographie. Donc dialectique réel/imaginaire et mouvement face à l’œuvre ; l’œuvre génère une histoire de sa réception : cette réception est une enquête autour d’un secret. John le Carré, le grand écrivain des services secrets, l’a compris et nous l’a fait comprendre : « D’abord, vient l’imaginaire, puis la quête du réel. Et ensuite, retour à l’imaginaire.[6] » Kim Young-Soo nous le permet.

 

 

L’interrogation philosophique par ces photos

 

                Pour comprendre ces photos, il faut connaître à la fois la conception métaphysique de ce photographe et la manière technique dont il fait ses photos.

                 Ce qui interpelle et met en mouvement cet artiste est l’interrogation existentielle et métaphysique « D’où venons-nous ? Qui sommes-nous ? Où allons-nous ? » – pour reprendre le titre de la peinture de Gauguin de 1897-8 ou celui de la chanson des Blackmore’s Night. Tout commence par un mystère – celui de notre être au monde –, se poursuit par un mystère – celui du monde –, pour aboutir à un mystère – celui de la photographie. Car la photographie est un mystère et non une énigme : l’énigme, on la résout ; le mystère, on ne le résout pas, on travaille avec et on le travaille. Certes, une photo est une trace, mais non un indice ; c’est pourquoi elle ouvre sur une possibilité d’art, l’approche sémiologique passant à côté de l’essentiel, à savoir de son mystère. Kim Youg-soo est donc un artiste travailleur inlassable du mystère, des mystères ; et ses images nous obligent à explorer le mystère, leur mystère, tout comme les peintures de Rothko ou les symphonies de Mahler. Certes, une photo est une trace, mais une trace de quoi ? Peut-être seulement d’une existence, voire seulement de l’existence ; une trace d’un mystère. Et par ce mystère photographique, cet artiste nous redonne notre dignité d’homme : nous ne sommes pas des traducteurs de signes, tel un robot habité par une intelligence artificielle, mais des interprètes étonnés et parfois émerveillés de ce mystère : l’art nous fait homme dans notre grandeur et notre faiblesse ; grâce à une œuvre, nous osons tutoyer l’essentiel, à savoir le mystère.

                Mais, avec le numérique, notre rapport au monde s’est transformé : il est googlisé. Kant nous disait que le temps et l’espace sont les formes a priori de notre sensibilité ; on pourrait presqu’ajouter que Google est une troisième forme technologico-culturelle de cette sensibilité. Or l’esthétique a pour objet ce rapport au sensible mis en œuvre de façon spécifique par l’art. Ce qui importe dans Google, c’est peut-être non tant toutes les informations, images et messages qu’il récupère et nous livre que le medium même, que cette manière de métamorphoser notre rapport au monde, au visuel, à l’image. Et c’est de là que part Kim Young-soo pour faire œuvre, donc pour nous donner à la fois à voir, à réfléchir et à nous interroger ; et c’est justement par l’interrogation que nous incarnons l’humanité face à l’énergie primitive et archaïque, donc à ce qui renvoie au plus ancien et surtout au plus fondamental, en particulier à l’origine de l’univers. Approche métaphysique de cet artiste si l’on se souvient que les trois objets de la métaphysique sont le Moi, le Monde et Dieu.

                Pour cela, Kim Young-soo invente une méthode – ORE : il condense un nombre considérable d’images données par Google, les écrase, les combine et fabrique, à partir des pixels et des couleurs, des objets visuels. Il abandonne donc la conception représentative qui nourrit la photographie habituellement, pour entrer dans une nouvelle conception de l’image – et, en conséquence, de l’art. L’artiste fait alors référence explicite au philosophe-mathématicien des XVII-XVIIIèmes siècles Leibniz, car, grâce à ce dernier il passe de la photographie comme représentation à la photographie comme expression ; c’est pourquoi il reprend le terme leibnizien de « monade » pour nommer une de ses séries. En effet, pour le philosophe, la monade désigne l’ « unité » (μονάς monas) parfaite, le principe absolu, donc sans relations : à la fois l’unité suprême comme l’Un et l'unité minimale, car il y a une correspondance entre la Monade suprême et les monades qui sont des reflets de cette dernière ­ macrocosme et microcosme. Pour Leibniz, l'Univers est donc constitué de monades et de composés de monades et chaque monade exprime l’univers ; chacune est un miroir vivant, représentatif de l'univers, suivant leur point de vue. Chaque photo de Kim Young-soo est une expression du monde, même si, surtout si elle ne ressemble pas à l’image habituelle des objets du monde.

 

[1] Leibniz, De la nature elle-même, 1698.

[2] François Soulages, Esthétique de la photographie (1998), Paris, Armand Colin, 2020, chapitre 2.

[3] Jean Guitton , Mon testament philosophique, Paris, Éd. Pocket, 2000, p.107.

[4] Le Rêve dans le pavillon rouge, in QIU Xiaolong, De soie et de sang (2006), Paris, Liana Lévi & Points n° 1939, 2008, p. 252.

[5] Gilles Deleuze, Pourparlers, Paris, Minuit, 2003, p. 93.

[6] John le Carré, Le tunnel aux pigeons, Paris, Seuil, 2016.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