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Digital abstracts that unveil the difference through repetition         

 

  Shin, Hye-Yeong / Art Criticism

 

Today, ‘googling’ indicates not only the utilization of a certain searching service of ‘google’ but it has become a common noun indicating the activity itself searching data through internet. Founded in 1998, Google started as a latecomer to the portal service industry, but without any of those common banner ads, it has become the industry leader in a short time with its "PageRank" technology that assesse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on websites around the world based only on the frequency of "links". PageRank was not just a search technology, but all about Google. It is because they embody their 'web democracy' principle that the value of information is determined not by the authorities of a specific field or by the man of means who can place the advertisement, but only by the search and access frequency of the users. In the era of Web 2.0, where everyone can be a consumer as well as a producer of information, this principle of Google has drawn the collective intelligence and become a universal standard for internet search and social network service.

Artist Kim, Young-Soo creates new images by using images collected by googling as source material. Most of works are close to a geometric abstract image consisting of points, lines, and faces, but in fact, there are countless images with specific shapes condensed in them. The digital images collected through internet are lost and leave only a myriad of pixels in the shape through the process of 'ORE' which has been devised by the artist using photoshop. The artist took the concept of "monad" of Leibniz considering that the pixel extracted to the color like this corresponds to the basic unit which can no longer be divided into other than its own, and he used the term as the title of his whole work.

He reassembles the monad of the unit pixel and creates a new abstract image he wants. The very difficult process on a computer, from setting up a specific topic, searching and collecting images through related keywords, and then decomposing a large number of images into pixels and reassembling, depends on the artist's choices and efforts, but it is also true that a lot of coincidence works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of work. It is because the images that become the source material are made by a lot of anonymous people, and the color distribution of a certain pixel is decided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selected image, and also the width of the artist's intervention cannot be wide enough to make an abstract image. However, such characteristics give consistency to Kim, Young-Soo's work. The images obtained through googling look similar, but they are never the same. For example, if you search for images with the term of 'sky', most of the top-ranked images are similar blue sky with cloudy sunny day. There are even the same images. However, if you enlarge the images that look same in the thumbnail, the actual image may be slightly different in color or in the cropped parts. It’s because the website and users, which are the source of images, are different. Even if the image is of the same site, the state of images depends on the monitor of the person who is currently watching it. Like this, the individual images themselves are independent, but it is a characteristic of googling image that they are shared by anonymous people around the world, transformed and reused in an unpredictable way at the moment when they come to the website. This can be described as the characteristics of monad which are independent respectively but connected with the diversified outer world.

Many of the themes of <Monad> are focused on the basic elements that make up the world.  The works etc. that abstract 4 seasons or yin and yang including <For 6 Days>(2017) where the creatures created over 6 days in the Bible have been expressed in 6 screens and <8 elements>(2015-2017) which is a series on the 8 basic elements of nature belonging to the Eight Trigrams for divination, i.e. the sky, pond, fire, thunder lightning, wind, water, mountain, and land, are typical. All of these tasks are those that he googled each element with a keyword, left the collected images as pixels, and reconstructed them into vertical or horizontal lines. It is interesting that when we look at the completed works from a distance, most of them appear as a color-field reminding of each keyword since each different image corresponding to a single keyword is different in shape but has generally common color. For example, the image of the third day of the creation of the 'land' and 'plant' in <FOR 6 Days> appears in a green color-field, and that of the fifth day of the creation of 'fish' and ‘bird’ is unveiled in a blue color-field that is common to the sea and sky. However, if looking closely at a color-field, we can find that it consists of thousands of different colored dots and thousands of colored lines of dots. And, considering that the myriad points and lines are the formative elements created by the numerous images shared by people in different space and time over the internet, we can see that the theme and method of work fit appropriately each other.

 

Like this, the googled images that come and go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unity, the special and the universal, together with Kim, Young-Soo’s <Monad> created through such images show well ‘difference’ through ‘repetition’ that has been emphasized throughout the western modern philosophy. For a long time, western philosophy, including Plato, has regarded 'identity' based on Idea as the basic principle of the world. With Idea as the original, which is the eternal self-identical being, Plato looked down on the reality as a replica of Idea and the image as a simulacre that has been replicated from such reality. Therefore, to Plato, visual art was forced to be limited to representation' presupposed 'resemblance' to the original, and the artist had to aim for identification with the original through continuous repetition. However, this idea has been challenged by many modern philosophers since the 1960s. French theorists such as Deleuze, Foucault, Derrida, and Baudrillard noted the process of making 'difference' rather than identification. Deleuze emphasized the difference that arises through repetition, and Derrida, in consideration that the meaning cannot be determined in one, went further than the concept of such difference and made a concept of 'différance', which is combines with the meaning of 'delay'. On the other hand, Foucault emphasizes the reversible relationship between the similar things that is against to the hierarchical order of the original and replica through the concept of 'similitude' distinguished from 'similarity (resemblance)' based on the original. Unlike the similarity, Foucault's similitude is a concept that circulates the simulacrum in affirmation of the difference which varies a little through repetition without any sequence or direction. Baudrillard claimed the "simulation" theory earlier that this simulacrum without the original replaces reality, and he thought that such a society is driven by the proliferation of media and information. As predicted by him, digital media has made simulation into reality, and on the internet today, infinite reproduction of information without the original is happening on a daily basis.

Then, what about the picture? The photographs that appeared on behalf of the reproduction role of painting in modern times also had to aim for 'similarity'. Even more, the photographs were regarded as an ‘index-like’ medium, which requires the presence of a subject in front of the camera as well as similarity with the original subject. Even after the collapse of the aura of the portrait photograph pointed out by Benjamin, the photograph which has been the medium of the first technology reproduction period for a long time, failed to escape the modern "reproduction" ideology. With the full-fledged emergence of new media, however, the hierarchy of the original and replica collapsed and the simulacrum exceeded reality, and the position of the modern subject given to the artists collapsed, and at the same time they became free from the obsession for reproduction. In this sense, Derrida's "death of the author" means "extinction of the modern subject". In the later photographs, the value of reproduction was faded as well. Of course, some modern photographers and their photographs are still revered by many, and the camera records many of the real world and shows them to people. However, the transition to digital media allows more people to share and transform their photographic images through the internet platform. Now it became more important what it means than who took the picture. It became possible to create a new context image without taking a picture with a camera, and the artistic implications of images including photograph are much wider and diverse. Kim, Young-Soo's <Monad>, which extracts the 'concrete' digital images produced by a large number of users into a new 'abstract' image, is interesting in that respect. His abstract image made of the plastic elements of points, lines, and faces is a reminder of many other similar works. There is a similar digital work that manipulates the pixels extracted in color into arbitrary form, but the abstract image that looks similar is slightly different for each artist, and the meaning of each work can be revealed by noticing such a small difference. It can be said that Kim, Young-Soo's <Monad> itself, which condenses different concrete images that cannot but be inferred from imagination into the background of familiar abstract images, embodies the concept of difference and repetition. Especially the visible abstraction doubles the interest from the gap when the invisible concreteness is emphasized. In the case of works by Kim, Young-Soo based on the characters of Hollywood's "Hero", GMO (genetically modified agricultural products) fruits, tablets that have been commonly used in daily life, etc., the final outcome composed of colorful lines stimulates further the imagination of more specific images used as the original materials.

The abstract images of the artist who reveals the difference through repetition are said to be a condensed version of the contemporary society of the 21st century at various points. It is a qualified task that an artist who majored in architecture and worked in the IT industry derived from the photographic medium. In fact, such work may not come easily from photo majors who have held the cameras for a long time or art majors who are familiar with the language of reproduction. The reason why today's photos (still images) are still interesting is because of their unique media locations in the middle of art and daily life. The medium utilization across the realm of art and everyday life rather allows the photograph to be counted continuously as the meaningful artistic medium.

 

 

 

 

 

The illusionist of Monad image where one is the whole and the whole is one.

 

Written by Cho, Jeong-Wha (PhD in formative arts, a photograph critic)

 

Kim, Young-Soo has been working on crushing the conventional ideas or cracking the familiar way of the present world. Especially, God’s world> Real world> Simulacre world> the world of cognition> are metaphorized as the elements which are circulated as the symbol of recognition. The artist paradoxically makes us to imagine the 'origin of existence' by eliminating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 of image, i.e. by removing the ‘evidence (true nature – shape)' even though ‘it existed’. Artist Kim, Young-Soo studied architecture at university, majored in business administration at KAIST Graduate School and graduated from Hankyong University with a major in photography. He held two solo exhibitions with the works of <MONAD> and <MONAD double slit>. He also has produced works such as <Monad>, <Monad-s>, <Changs>, <Dummy>, <Particles>, <3Hrs>, <Ink>, <God's Fingerprint>, <Year Most>, <Little Solitude I>, and so forth. For group exhibition, he participated in several exhibitions such as <On the scenery, China>, <Contemporary Korean Artists Exhibition, New York>, <Daeli International Photography Festival, China>, <Isu International Photography Festival, China>, etc. He has also received awards at <Gallery NOW Advanced Exhibition Award, 2017>, <Dong-gang Growing-UP IV Artist, 2016>, and <IPA (Int'l Photography Awards) Honorable Mention (USA), 2015>.

Artist Kim, Young-Soo has been established his own formative system, which is characterized by four.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at his works begins with 'googling’. He does not shoot the photos himself, but uses images that he found. It is a method of collecting images by googling the keywords according to the theme of the work on the internet. We can say that the images on the internet generated by the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around the world represent the modern society best. However, the world of 'googling' is unclear abou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original (real) and replica (virtual). Sometimes, nevertheless, the virtual (cloned) reality dominates us. Like this, it is for him to use the digital images through googling as the symbol of the reality where virtuality has been maximized. He tries to understand the invisible inner(real) one, i.e. the true nature of the world, through the external (fake) symbols of the googled image which has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present age.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at images collected through googling are reprocessed by 'ORE method' designed by the artist. 'ORE' means the ore, which is a term that is named after the shape of the remaining 'color' that looks similar to ore after the shape disappears in the process of work. The ORE method is an image extraction method standardized in photoshop, which includes 7 kinds of techniques such as LN (Lining), SP (Spring), IP (Institution Point), PX (Pixel), MT (Multiple Layer) and SW (Sewing). More than two or three techniques are used in most of the process of works. The crowded images are twisted or condensed so that the shape (outer) disappears and the traces (interior) are left in color and are recombined into points, lines, and faces, which are the minimum units of molding, and are reproduced into new abstracts. This is in line with Richard P. Feynman's "The phenomenon is complicated, but the law is simple." The interesting thing about 'ORE technique' is that the process of reprocessing of digital images is calculated by chance according to intuition.

 

In other words, it is the only one digital abstract created by the artist's delicate and sensitive sense of freedom. The elements that draw visual effects in Kim's works are the abstract of light/color and line/form. This is a light/color and line/shape connected to a condensed point of thousands or tens of thousands of images. These tiny points of color of the same photo in different times expand into lines and faces and show geometric generation and variation. They are repeated a myriad of times by numerological arrangements across horizontal and vertical and by complex rules and principles, revealing the internalized 'difference'. However, repetition and superposition of artist-specific geometric lines, and tension and relaxation by collision are derived by accidental repetition rather than by an indicating symbol. As a trail of successive dots, these lines/shapes contain some invisible nature. As the color with specific figure of points, lines and faces, abstract forms of Kim's works such as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GMO)’, ‘Artificial Intelligence(AI)’, ‘Sewolho’, and ‘Gwanghwamun’ are the symbol of implicit language. In this way, the mass composed of the color by the wavelength, absorption and reflection of light and color gradually diffuses into the space and time, not into the plane. Because it’s the beginning of the journey toward the essence, and the intentional representation of the artist. A line that is cohesive with a cool, solid, dense structure is a line that is likely to repeat forever. This concept of repetition crosses the gri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suggests an analogy of human birth and death. This suggests a world view the artist normally has that life and death are one and the birth and death of the universe is also one world connected in one. If so, what about the spatial composition? The artist concentrates on the space connecting the lines as well as the mechanical repetition of the lines. The longer you stare at, the lines/shapes that cause emotion are suddenly cut off somewhere.

 

As the beginning of space, the break at this time is induced to the cyclic space-time that opens infinitely. This is not the only metaphysical space-time. The margin of narrow or wide dark space is the margin as the potential shape of space-time and the axis of exquisite balance between existence and absence as well. Due to that, infinite variation of space-time and even the phenomena of illusion come to be encouraged. Optical illusion by space and the space by the optical illusion are a mysterious unknown world. However, this may be the manifestation of another desire to escape the closure of the Euclidean geometric space.

The third characteristic of Kim, Young-Soo's works is that they form an optical artistic abstract. In the mid-20th century, 'Optical Art' was introduced through 'visual perception' of 'eye' response. The greatest feature of optical art is the effect that a certain psychological process is transmitted to the brain through 'eye'. Kim, Young-Soo reveals three-dimensional space-time through light/color and line/form caused by this optical artistic characteristic, and leads us to an experience of optical illusion. However, it is similar to optical art in a sense of 'visual effect' which is based on the perceptual or cognitive aspects of visual art, but strictly speaking, they are different. While optical art is focused on visual effects and perceptual phenomena, Kim, Young-Soo does not work with it in the first place, but presupposes a strong narrative of the time by ideological convergence. Nonetheless, the illusion that geometric fine lines cause visual illusion through multi-layers seems to be able to be classified as a part of the optical art.

 

Artist Kim, Young-Soo came to create 'ORE technique' to implement 'Monad (a list of gifts)' which is the basic unit of everything. He starts with the reason that he wants to think about the origin of all things based on the artist's imagination. This is the last and fourth characteristic of Kim, Young-Soo's works. The binary form of Gottfried Wilhelm Leibniz, i.e. '0' and '1', were found in yin (-) and yang (+) of the 'arts of divination' in orientalism, and so is the 'monad' philosophy. Kim, Young-Soo’s ‘ORE’ style reproduction method of ‘Monad’ or oriental thought penetrating his works also seems indispensable and indivisible. Like this, he mainly pursues Leibniz's ‘Monad’ thought, Deleuze's ‘difference’ and ‘repetition’, and Baudrillard's ‘hyper reality’ as the main theses of his works, and introduces them throughout his works. In addition, digital image, which is a relic of Foucault's ‘resemblance (master, the subject to be cloned)’ and ‘similitude (no master)’, is located as a symbol of simulacre in image reproduction. However, the metaphorical code leads us, above all, to think of the 'repetition' and 'difference' of Deleuze's reproduction,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oriental philosophy. <Monad> and <Changs>, which can be considered his masterpieces, include the ‘Creation’ of Genesis and '64 diagrams' of the art of divination, and they approach the principle of birth and death through a constantly circulating(repeating) color strings and units of light/color and line/form which are the circle of eternity. It is worth noting here that one pixel in the work is individual, forms the whole and is organically connected with others at the same time. This reaffirms the fact that each phenomenon is closely related and that "one is the whole, the whole is one". However, what if there is no caption in the work? It seems to be not only difficult but also impossible to interpret. This may be a dilemma, but there is no fixed truth in his works. It means that each person who interprets his works can newly generate a meaning. This is the very greatest attraction of Kim, Young-Soo's works.

 

Like a mathematician or a scientist, or sometimes like an alchemist, Kim, Young-Soo makes us to enter the space of zero gravity through countless magic puzzle images. Paradoxically revealing that what we are seeing or believing is not unique or absolute, he enables us to have an experience of Nicolaus Copernicus. Ultimately, the illusion that Kim’s works radiates is a representation of belief in an unknown world that cannot be confirmed by eyes but can certainly exist. Willem Fleischer said, "Freedom plays when we fight against devices." Modern photography art is expanding infinitely, performing a converging and mediating role beyond a definable category. These Kim, Young-Soo’s works are meaningful works that we can check the mediating role of photograph. Furthermore, escaping from the traditional grammar of photo (still image), the 'technological imagination' which is an experimental movement of digital technology is also compatible with the diversity of expression styles in Korean photography world. Kim, Young-Soo deserves to be called as one of the artists who recently show the world of unique works in Korea, and he is a good example of experimental attempt to create beyond the technical limit of expression.

■Cho, Jeong-Wha

 

 

 

하나가 전체이고

전체가 하나(一卽多 多卽一)인

모나드 이미지의 환영술사

 

글 : 조정화(조형예술학 박사, 사진비평가)

 

김영수는 관습적 시선에 흠집을 내거나 현 세계의 상투성에 균열을 내는 작업들을 해 오고 있다. 특히, 신의세계>현실세계>시뮬라크르세계>인식의세계>는 인식의 표상으로 순환되는 요소들로 메타포된다. 작가는 이미지의 존재론적 특성, ‘그것이 존재’ 했으나 그 ‘증거(실체-형상)’를 없앰으로써 역설적으로 ‘존재의 근원’을 상상하게 한다. 김영수 작가는 대학에서 건축을 전공하고, 카이스트 대학원에서 경영학을 전공한 뒤 한경대학교 대학원에서 사진을 전공해 졸업했다. 그는 <MONAD>, <MONAD double slit> 작품으로  2회를 개인전을 하였다. 또한 <Monad>,<Monad-s>, <Changs>, <Dummy>, <Particles>, <3Hrs>, <Ink>, <God’s Fingerprint>, <Year Most>, <Little Solitude I> 등의 작품을 해오고 있다.  그룹전으로는 <風景之上,중국>, <한국 Contemporay 작가전,뉴욕>, <대리국제사진제,중국>, <이수이국제사진제,중국> 등 다수의 전시회를 가진바 있다. 그리고 <Gallery NOW Advanced Exhibition Award,2017 >, <Dong-gang Growing-UP IV Artist,2016>, <IPA(int' photography awards) Honorable Mention (USA),2015>에서 수상하기도 했다.

 

김영수 작가는 자신만의 조형적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데 크게 4가지 특징을 보인다. 첫번째 특징은 그의 작업이 ‘구글링(Googling)’으로부터 시작된다는 점이다. 그는 직접 촬영하지 않고 주로 발견된 이미지(foundedimage)를 사용한다. 작품 주제에 따른 핵심어를 인터넷에서 구글링 해 이미지를 채집하는 방식이다. 전세계의 불특정 다수에 의해 생성되는 인터넷상의 이미지야말로 현대사회를 가장 잘 대변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구글링’의 세계는 원본(실재)과 복제(가상)의 구분이 모호하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가상(복제)의 현실이 우리를 지배하기도 한다.  이처럼 가상성이 극대화 된 현실의 상징으로 구글링의 디지털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다. 현시대의 대표성을 갖는 구글링 이미지의 외부(가짜)적 표상을 통해 보이지 않는 내부(진짜)의 것, 즉 세상의 본질을 알아보려는 것이다. 두번째 특징은 구글링으로 채집된 이미지들은 작가가 고안한 ‘ORE방식’에 의해 재가공 된다는 점이다. 'ORE'는 광석을 뜻하는데 작업과정에서 형체가 사라지고 남는 ‘색’의 형상이 광석과 비슷해 명명한 용어이다. ORE기법(ORE Method)은 포토샵에서 표준화시킨 이미지 추출 방식으로 LN(Lining), SP(Spring), IP(Institution Point), PX(Pixel), MT(Multiple Layer), CF(Color Filter), SW (Sewing)의 7가지 방법이 있다. 작업 과정에서 대부분 2~3가지 이상의 기법들이 혼용된다. 군집된 이미지들은 비틀거나 응축(condensing) 되면서 형체(외부)는 사라지고 그 흔적(내부)은 색채로 남겨져, 조형의 최소 단위인 점·선·면으로 재조합 되며 새로운 추상으로 거듭난다. 이는 리처드 파인만(Richard P. Feynman)의 “현상은 복잡하나 법칙은 단순하다.”와 맥을 같이 한다. ‘ORE기법’에서 흥미로운 점은 디지털 이미지의 재가공 과정은 직관에 따른 우연성에 의해 산출 된다는 점이다. 다시말해, 작가만의 섬세하고 예민한 자유 감각기관에 의해 탄생된 유일무이(唯一無二) 한 디지털 추상인 것이다.

 

김영수의 작품에서 시각적 효과를 끄는 요소는 빛/색과 선/형의 추상이다. 이는 수 천, 수 만컷의 이마쥬(image)로 응축된 점으로 연결된 빛/색과 선/형이다.  이시동도(異時同圖)의 작은 색점은 선과 면으로 확장되며 기하학적인 생성과 변주를 보여준다. 수평과 수직을 가로지르는 수비학(numerology)적 배열과 복잡다난한 규칙과 원리에 의해 무수히 반복되며 내재화된 ‘차이’를 드러낸다. 그러나 작가 특유의 기하학적인 선의 반복과 중첩, 그리고 충돌에 의한 긴장과 이완은 지시적 상징보다 우연적 반복에 의해 파생된다. 이러한 선/형은 연속된 점(dot)의 흔적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어떤 본질을 내포한다. 김영수의 작품, ‘유전자 변형 농산물(GMO)’, ‘인공지능(AI)’, ‘세월호’, ‘광화문’ 등의 추상 형태는 점·선·면의 구체적 형상(figure)을 지닌 색(color)으로 함의적 언어의 표상이다. 이처럼 빛과 색의 파장, 흡수, 반사에 의한 색으로 구성된 매스(Mass)는 평면이 아닌 시공간으로 점차 확산된다. 그것은 본질을 향한 여정의 시작이자 작가의 의지적 표상이기 때문이다. 차갑고 견고하며 치밀한 구조로 응집된 선은 영원히 반복될 것 같은 선이다. 이 반복의 개념은 그리드의 수직과 수평으로 교차되며 인간의 탄생과 죽음을 유비적으로 암시한다. 평소 작가의 세계관 즉, 삶과 죽음은 하나이며, 우주의 생멸 또한 하나로 연결된 세계임을 제시하고 있다. 그렇다면, 공간 구성은 어떠한가. 작가는 기계적인 선의 반복 만큼이나 그 사이 사이를 연결하는 공간에도 집중한다. 오래 응시 할 수록 감정을 일으키는 선/형은 어디선가 뚝 끊겨진다. 이 때의 끊김은 공간의 시작으로 무한히 열리는 순환적 시공간으로 유도된다. 형이상학적인 시공간은 이뿐만이 아니다. 좁거나 넓은 암부의 여백은 시공간의 잠재태로서의 여백이며 유(有)와 무(無) 사이의 절묘한 균형감의 축이기도 하다. 그로인해 무한한 시공간의 변주와 착시현상 마저 독려된다. 공간에 의한 착시, 착시에 의한 공간은 신비한 미지의 세계이다. 그러나 이마저도 유클리드적인 기하 공간의 폐쇄성을 탈출하려는 또다른 욕망의 발현인지도 모를 일이다.

 

김영수 작품의 세번째 특징은 옵아트적 추상을 이룬다는 점이다. 20세기 중반 ‘눈’의 반응에 대한 '시각적 인식'을 통한 '옵아트 (Optical Art)'가 등장했다. 옵아트의 가장 큰 특징은 어떤 심리적인 과정이 ‘눈’을 통하여 뇌에 전달됨으로 나타나는 효과에 있다. 김영수는 이러한 옵아트적 특성에 의한  빛/색과 선/형을 통하여  입체적인 시공간성을 드러내며 착시를 경험하게 한다.  그러나 시각예술의 지각적 또는 인지적 측면에 입각한 ‘시각적 효과’라는 점에서는 옵아트와 유사하지만 엄밀하게는 차별점을 두고 있다. 옵아트는 철저히 시각적인 효과와 지각현상에 집중 한 반면, 김영수는 이를 애초에 염두하며 작업 한 것은 아니며, 관념적 수렴에 의한 시대적 내러티브를 보다 강하게 전제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하학적인 미세한 선들이 여러 층의 레이어에 의한 시각적 착각을 일으키는 일루전은 '옵아트의 일환으로 분류 가능해 보인다. 김영수 작가는 모든 존재의 기본 실체(unit)인 ‘모나드(Monad, 單子)’를 구현하기 위해  ‘ORE기법’을 만들게 되었다. 작가 특유의 상상력을 기반으로 만물의 근원을 사유하고자 하는 까닭에서 출발한다. 이것이 바로 김영수 작업의 마지막, 4번째 특징이다. 라이프니츠(Gottfried Wilhelm Leibniz)의 2진법, ‘0’과 ‘1’은 동양사상인 주역(周易)’의 음(-)과 양(+)에서 발견된 것이며 ‘모나드’ 철학도 그러하다. 김영수의 ‘ORE’식의 ‘모나드’ 재현 방식이나 작품을 관통하는 동양사상 역시 필수 불가분해 보인다. 이처럼 작품세계의 핵심 테제인 라이프니츠의 ‘모나드’ 사상과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보드리야르의 ‘하이퍼리얼리티’는 주된 지향점이며 작품 전반에 이를 도입한다. 또한, 이미지의 재현에 있어 푸코의 ‘유사(복제의 대상인 주인)’와 ‘상사(주인 없음)’의 산유물인 디지털 이미지는 ‘시뮬라크르’의 상징으로 위치한다. 그러나 메타적 코드는 무엇보다 들뢰즈의 복제의 ‘반복’과 ‘차이’를 사유하도록 이끈다는데 있으며 동양철학과 밀착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Monad>와 <Changs>은 창세기의 ‘천지창조’와 주역의 ‘64괘’ 등을 담은 내용으로, 끊임없이 순환(반복) 된 컬러스트링(color string)과, 영원의 순환고리인 빛/색, 선/형의 단위로 생멸의 원리를 접근한다. 여기서 주목 할 점은, 작품에서 하나의 픽셀(pixel)은 개별적이면서 동시에 전체를 이루며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는 각각의 현상은 밀접한 관계를 이루며 '하나가 전체이며, 전체는 하나(一卽多 多卽一)'임을 재인식시킨다. 그런데 작품에 캡션이 없다면? 난해 할 뿐 아니라 해석 불가능해 보인다. 이는 딜레마 일수도 있으나 그의 작품에서 이미지에 불변하는 고정된 참(眞)은 없다. 해석하는 사람에 따라 그 의미를 새롭게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김영수 작품의 가장 큰 묘미인 것이다. 김영수는 수학자나 과학자처럼, 때로는 연금술사처럼 수 많은 마술(magie)적 퍼즐 이미지로 무중력의 공간을 진입하게 한다. 우리가 보고 있는것, 또는 믿고 있는 것들이 유일하거나 절대적인 것이 아님을 역설적으로 드러내며 코페르니쿠스(Nicolaus Copernicus)적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궁극에 김영수의 작품이 발산하는 일루전(illusion)은 눈으로 확인 불가능하나 분명 존재 가능한 미지의 세계에 대한 신념의 표상이다. 빌렘 플루서는 “자유는 장치에 대항 할 때 유희한다.”고 했다. 현대의 사진예술은 규정할 수 있는 범주를 너머 융합과 매개적 역할을 수행하며 무한히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김영수의 작업은 사진의 매개적 위치를 점검해 볼 수 있는 의미 있는 작업이다. 게다가 전통적 사진(still image)문법에서 벗어나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실험적 행보인 ’기술적 상상’은 한국 사진계의 표현 양식의 다양성에도 부합된다. 김영수 작가는 최근 한국에서 독자적인 작품세계를 가장 잘 보여주는 작가들 중 한명이라고 할 수 있으며,   표현방식의 기술적 한계를 넘어 창조하는 실험적 시도의 좋은 선례가 아닐 수 없다.■조정화

반복을 통해 차이를 드러내는 디지털 추상

 

오늘날 ‘구글링(Googling)’은 ‘구글(Google)’이라는 특정 검색 서비스 활용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으로 정보를 검색하는 행위 자체를 뜻하는 일반 명사가 되었다. 1998년 설립된 구글은 포털 서비스 업계의 후발주자로 시작했지만 ‘링크(link)’의 빈도만을 기준으로 전 세계 웹사이트의 정보 중요도를 평가하는 ‘페이지랭크(PageRank)’ 기술로 그 흔한 배너 광고 하나 없이 짧은 시간 안에 업계 최고의 기업으로 올라섰다. 페이지랭크는 단순히 하나의 검색 기술이 아니라 구글의 모든 것이었다. 정보의 가치가 특정 분야의 권위자나 광고를 실을 수 있는 재력가에 의해서가 아니라 오로지 사용자들의 검색 및 접속 빈도수에 따라 정해진다는 그들의 ‘웹 민주주의’ 원칙을 구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누구나 정보의 소비자뿐 아니라 생산자가 될 수 있는 웹 2.0 시대 구글의 이러한 원칙은 집단지성을 이끌어내며 인터넷 검색과 SNS의 보편적인 기준이 되었다.

작가 김영수는 구글링으로 채집한 이미지들을 원 자료(source material) 삼아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작품 대부분은 점·선·면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 추상 이미지에 가깝지만, 사실상 그 안에는 구체적인 형상(figure)을 지닌 수많은 이미지들이 응축되어 있다. 인터넷을 통해 채집된 디지털 이미지들은 작가가 포토샵을 활동해 고안한 프로세스 ‘ORE’를 통해 형체는 사라지고 무수히 많은 픽셀로만 남게 된다. 작가는 이렇게 색으로 추출된 픽셀이 자신의 존재 이외에 더 이상 다른 것으로 나눌 수 없는 기본 실체(unit)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라이프니츠의 ‘모나드(monad)’ 개념을 가져와 작업 전체의 제목으로 삼았다. 그는 픽셀이라는 단위의 모나드를 재조합해 자신이 원하는 새로운 추상 이미지를 만들어간다. 특정한 주제를 정하고 그에 관련된 키워드를 통해 이미지를 검색하고 채집한 뒤 수많은 이미지들을 픽셀로 분해해 재조합하기까지 컴퓨터상의 지난한 과정은 작가의 선택과 노력에 달려있지만, 작업의 전 과정에서 상당 부분 우연이 작용하는 것 역시 사실이다. 원 자료가 되는 이미지들이 수많은 익명의 사람들에 의한 것이고 선택된 이미지의 색에 따라 어느 정도 픽셀의 색 분포가 정해지며 추상 이미지를 만드는 데도 작가의 개입의 폭이 그다지 넓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러한 특징이 김영수의 작업에 일관성을 부여한다.

구글링을 통해 얻은 이미지는 외견상 비슷해 보여도 절대 동일한 것이 없다. 예컨대 ‘하늘(Sky)’로 이미지를 검색하면 상위권에 오른 이미지의 대부분은 화창한 날 뭉게구름이 뜬 비슷비슷한 파란 하늘이다. 심지어 똑같은 이미지들도 있다. 그러나 썸네일(thumbnail)에서 같아 보이는 이미지들도 확대해보면 실상은 미세하게 색조가 다르거나 잘린(cropped) 부분이 조금씩 다르다. 이미지의 출처가 되는 웹사이트와 사용자가 다르기 때문이다. 같은 사이트의 이미지라 하더라도 현재 그것을 보고 있는 사람의 모니터에 따라 상태는 달라진다. 이처럼 개별 이미지들은 그 자체 독립적이지만 웹사이트에 올라오는 순간 전 세계 익명의 사람들에게 공유되고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변형되고 재사용되는 것이 구글링 이미지의 특징인 것이다. 이는 각각 독립적이면서도 외부 세계와 다양한 관계를 맺는 모나드의 성격에 빗댈 수 있다.

<모나드>의 주제 중 상당수는 세계를 이루는 기본 요소들에 집중되어 있다. 성서의 6일에 걸쳐 창조된 피조물을 6개의 화면으로 다룬 <FOR 6 Days>(2017)와 주역의 팔괘(八卦)에 해당하는 8가지 자연의 기본 요소인 하늘, 연못, 불, 천둥번개, 바람, 물, 산, 대지에 관한 연작 <8 elements>(2015-2017)을 비롯해 사계절이나 음양을 추상화한 작업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작업들 모두 각 요소들을 키워드로 구글링한 뒤, 채집된 이미지들을 픽셀로 남겨 수직 혹은 수평의 선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흥미로운 점은 하나의 키워드에 해당하는 각기 다른 이미지들이 형상은 다르나 대체로 공통된 색을 가지고 있어 완성된 작품들 대부분 멀리서 보면 각각의 키워드를 연상케 하는 색면(colorfield)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예컨대 <FOR 6 Days> 중 ‘땅’과 ‘식물’이 창조된 세 번째 날의 이미지는 초록색, ‘어류’와 ‘조류’가 창조된 다섯 번째 날은 바다와 하늘이 공통된 푸른색의 색면으로 드러난다. 그러나 하나의 색면은 자세히 보면 조금씩 다른 수만 가지 색의 점들과 그 점들로 이루어진 수천 가지 색의 선들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무수히 많은 점과 선은 각기 다른 시공간의 사람들이 인터넷을 통해 공유한 수많은 이미지들이 빚어낸 조형요소들임을 생각하면 작품의 주제와 방식이 적절히 조응함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개별과 통합, 특수와 보편을 오가는 구글링 이미지와 그러한 이미지들을 통해 만들어낸 김영수의 <모나드>는 서구 현대철학 전반에서 강조해 온 ‘반복’을 통한 ‘차이’를 잘 보여준다. 오랫동안 플라톤을 위시한 서구 철학은 이데아를 전제로 한 ‘동일성(identity)’을 세계의 기본 원리로 여겨왔다. 플라톤은 영원한 자기 동일적 존재인 이데아를 원본으로 삼아 현실을 이데아의 복제물로, 이미지를 그러한 현실을 복제한 시뮬라크르(simulacre)로 하대하였다. 따라서 플라톤에게 시각예술은 원본과의 ‘닮음’을 전제로 한 ‘재현(representation)’에 국한될 수밖에 없었고 예술가는 지속적인 반복을 통해 원본과의 동일시를 지향해야 했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은 1960년대 이후 여러 현대 철학자들에 의해 도전받았다. 들뢰즈, 푸코, 데리다, 보드리야르 등의 프랑스 이론가들은 동일시가 아닌 ‘차이(difference)’를 만드는 과정에 주목했다. 들뢰즈는 반복을 통해 발생하는 차이를 강조했고 데리다는 그러한 차이의 개념에 더 해 의미가 하나로 확정될 수 없다는 점에서 ‘지연’의 의미를 결합한 ‘차연(差延, différance)’이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그런 한편, 푸코는 원본을 전제로 한 ‘유사(類似, ressemblance)와 구분되는 ‘상사(相似, similitude)’ 개념을 통해 원본과 복제의 위계화된 질서에 반(反)하는, 비슷한 것들 간의 가역적인 관계를 강조한다. 푸코가 말하는 상사는 유사와 달리 어떠한 서열이나 방향성 없이 반복을 통해 조금씩 달라지는 차이를 긍정하고 시뮬라크르를 순환시키는 개념이다. 보드리야르는 일찍이 이러한 원본 없는 시뮬라크르가 실재를 대체한다는 ‘시뮬라시옹(simulation)’ 이론을 주장하였고 그러한 사회는 매체와 정보의 증식에 의해 동인된다고 보았다. 그의 예견대로 디지털 매체는 시뮬라시옹을 현실화했고, 오늘날 인터넷에서는 원본 없는 정보의 무한 복제가 일상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그렇다면 사진은 어떠한가. 근대 시기 회화의 재현적 역할을 대신하며 등장한 사진 역시 ‘유사성’을 지향할 수밖에 없었다. 심지어 사진은 원본이 되는 대상과의 유사성은 물론, 카메라 앞에 선 피사체의 현존을 반드시 요하는 ‘지표(index)’적 성격의 매체로 여겨졌다. 벤야민이 지적한 초상사진의 아우라가 붕괴된 이후에도 오랫동안 최초의 기술 복제 시대 매체인 사진은 근대적 ‘재현’ 이데올로기를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새로운 미디어들의 본격적인 등장과 더불어 원본과 복제의 위계가 붕괴되고 시뮬라크르가 실재를 초과하게 되면서 예술가에게 부여된 근대적 주체의 지위가 무너졌고 그와 동시에 그들은 재현에 대한 강박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데리다가 말한 ‘저자의 죽음’은 곧 ‘근대적 주체의 소멸’을 의미한다. 이후 사진에 있어서도 재현의 가치는 색이 많이 바랬다. 물론 여전히 몇몇의 근대 사진작가와 그 사진은 많은 이로부터 추앙받으며 카메라는 현실 세계의 많은 것을 사진에 기록하고 사람들에게 보여준다. 그러나 디지털 매체로의 전환은 사진 이미지를 인터넷이라는 플랫폼을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이 공유하고 변형하게 한다. 이제 그 사진을 누가 찍었는가보다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가 더 중요해졌다. 카메라로 찍지 않고도 새로운 맥락의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되었고 사진을 포함한 이미지의 예술적 함의는 훨씬 넓고 다양해졌다.

수많은 사용자들이 생산한 ‘구체적인’ 디지털 이미지들을 색으로 추출해 새로운 ‘추상적’ 이미지로 만들어내는 김영수의 <모나드>는 그런 점에서 흥미롭다. 점·선·면의 기본 조형요소로 이루어진 그의 추상 이미지는 유사한 여러 다른 작품들을 떠올리게 한다. 색으로 추출한 픽셀을 임의의 형태로 조작해 만든 유사한 방식의 디지털 작업이 있지만, 비슷해 보이는 추상 이미지는 작가마다 조금씩 다르고 그 작은 차이에 주목함으로써 각 작업의 의미를 드러낼 수 있다. 익숙한 추상 이미지 이면에 상상으로 유추할 수밖에 없는 각기 다른 구체적인 이미지들을 응축한 김영수의 <모나드>는 그 자체로 차이와 반복에 관한 개념을 구현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눈에 보이는 추상성은 그 이면에 보이지 않는 구체성이 강조될 때 그 간극으로부터 흥미가 배가된다. 김영수의 작업 중 헐리웃의 ‘영웅(Hero)’ 캐릭터, GMO(유전자 변형 농산물) 과일, 일상에서 상용되는 알약 등을 소재로 한 작품의 경우 화려한 색의 선들로 이루어진 최종 결과물이 원 자료로 사용된 보다 구체적인 이미지에 대한 상상을 더욱 자극한다. 반복을 통한 차이를 드러내는 작가의 추상 이미지는 여러 지점에서 21세기 현대사회를 압축적으로 담고 있다 하겠다. 그것은 건축을 전공하고 IT 업계에서 일해 온 작가가 사진 매체를 통해 도출한 적격의 작업이다. 실상 그러한 작업은 카메라를 오랫동안 잡아 온 사진 전공자나 재현의 언어에 익숙한 미술 전공자에게서는 쉽게 나올 수 없을지 모른다. 오늘날 사진(still image)이 여전히 흥미로운 것은 예술과 일상의 중간에 놓인 그 고유한 매체적 위치 때문이다. 예술과 일상의 영역을 가로지르는 매체적 활용도가 역으로 사진을 계속해서 유의미한 예술적 매체로 자리하게 하는 것이다.

 

신혜영 | 미술비평

이-미지(未知)의 이미지

 

글 : 최연하(독립큐레이터, 사진비평가)

 

 

단순한 가상이 되지 않는 이상, 또한 예술 작품이기를 멈추지 않는 한

어떤 예술 작품도 완전히 생생하게 나타날 수 없다.

- 발터 벤야민

 

 

김영수는 신작, <모나드Monad>에서 이미 있는 세계를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아직 없는 것을 ‘설계’하고 있다. 재현의 세계에서 원본을 본 뜨는 것이 중요하다면, ‘설계’는 원본이 없이도 가능하거나 형식에 맞지 않으면 계속 변형시킬 수 있는 차원이다. 사진을 대개, ‘세계의 재현’이거나 ‘세계의 해석’, 혹은 ‘흔적’이라고 정의한다면, 김영수의 사진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새로운 텍스트로 직조된 상형문자와 같은 ‘기술적 형상’(빌렘 플루서의 용어)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픽셀로 채워진 이 사진을 읽어내려면 그 밑에 전제된 프로그램과 숫자와 문자코드를 함께 살피지 않을 수 없다. 기술을 통해 가상이 현실이 되고 가상과 현실이 구별이 되지 않는 시대에 김영수는 가상의 잠재성을 추상적으로, 이미 추상적인 것을 더욱 추상적으로 표상한다. 그렇기에 그의 사진은 벤야민의 “언어는 자신을 전달한다”는 명제처럼, 결국 이미지 스스로 자신을 전달하고 있는 마술적 이미지인 셈이다. 이미지가 전달 매체로서 단순히 사물이나 세계를 재현하는 도구가 아니라 이미지 스스로 발화하는 것. 상(像)은 사라지고 점, 선, 면만 겨우 드러내고 있는 김영수의 사진은, 관객의 혼선을 덜하기 위해 작가가 작품마다 명기한 캡션이 없다면 읽기(보기)에 난해하기만 하다. 인식론적으로 재현을 포기한, 다만 알파벳과 숫자와 프로그램으로 세계를 형식적으로 구성한 이 사진들은 기술적 상상력을 동원하지 않고는, 우리가 사진에 그동안 기대어 왔던-사진의 사실성, 기록성-것을 포기하지 않고는, 미지(未知)의 세계일뿐이다.

 

<모나드Monad>展은 크게 세 개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창세기 6일간의 세상 창조 이야기’, ‘주역의 8괘 이야기’, ‘별의 탄생과 우주 이야기’로, 이 세 개의 테마는 각각 ‘색(色)’, ‘역(易)’, ‘공(空)’으로 이뤄진다. 세계의 시원에서부터 상상의 세계로 이어지는 작품들은 작가만의 독창적인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스인 <ORE Method>를 적용한 것이다. <ORE Method>는 구글링에서 다운로드한 수많은 이미지들에서 형(形)을 없애고, 색(色)만 남기는 방법으로, 컴퓨터의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탄생한 작가만의 프로세스이다. 하나의 작품을 완성하는데 평균 한 달여의 시간이 요구되고, 수 천 컷에서 수 만 컷에 이르는 사진들을 조합하여 만들기에 이미지의 용량도 10기가바이트에 이르기도 한다. 이미지의 설계에서부터 구현까지의 과정을 추체험해보니, 상상력과 수고로움으로 점철된 작업시간이었을 것 같다. 빌렘 플루서는 그의 미디어 이론에서 가상과 실재의 차이는 질적 차이가 아니라 양적 차이, 즉 밀도와 해상도의 차이라고 언급했는데, 김영수는 <ORE Method>를 통해 치밀하게 기획(project)된 가상을 높은 해상도와 밀도로 표상하고 있다. 그런데 그 가상이 실재보다 더 구체적인 잠재태로 형성되어 있다면? 그것이 또한 하나이면서 여럿이 동시에 가능한 '모나드monad'로 구성되어 있다면? 그 모나드들이 ‘오토포이에시스(autopoiesis)’처럼 수많은 변수에 따라 변동하고 결합하고 이동하고 조직되며 그 때마다 다르게 결정되는 것이라면. 이러한 의문과 함께 김영수의 작품을 다시 보니 보이지 않았던 ‘퍼텐셜’ 운동 에너지가 희미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결국 유일무이하고 환원 불가능한 ‘단 하나의 이미지’로 완결된 김영수의 <모나드>는 추상이지만 구체적인 것을 넘어서는 퍼텐셜한 이미지이다. 브라이언 마수미는 그의 책 『가상과 사건』에서 속속 출현하는 새로운 기술적 형상의 상황에서 ‘예술은 어떤 방식으로 존재해야 하는가’를 제시하며, 예술의 역능(puissance)을 사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는데, 김영수의 작품을 보면서 부딪치는 혼돈은 새로운 사진의 가능성을 느끼게 하기에 충분하다. 그의 모나드는 그렇게 자신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실질적인 숫자의 발명가이기도 한 라이프니치는 17세기에 단자(單子)라는 스토리를 쓴다. 단자는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원자도 아니고, 눈으로 확인할 수도 없다. 단순한 물질이지만 추상적인 개념이기도 한 단자는 더 이상 쪼개질 수 없는 부분이면서 동시에 어느 곳에나 편재한 것이다. 개별적이면서도 상호관계를 맺을 수 있는 것이 단자라는 것이다. 놀랍게도 라이프니치는 중국의 <주역>을 번역하고, 주역을 통해서 이분법을 발견하였다고 한다. 그가 쓴 단자에 관한 짧은 에세이는 매우 아름답고 인상적이다.

 

“가장 높은 곳에서, 모나드는 장조이면서 완전한 화음들을 생산 한다. 바로 여기에서 동요의 작은 외력들은 사라지기는커녕, 다른 화음들 안에서 연속, 연장, 갱신, 다수화될 수 있고 증식되고 반영되는 하나의 즐거움 안으로 통합되며, 보다 더 멀리 갈 수 있는 힘을 언제나 우리에게 제공한다. 이 즐거움은 영혼에 고유한 ‘지복(至福)’이고 조화의 전형이며, 또 순교자의 기쁨과도 같이 최악의 고통들에서조차 입증될 수 있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의미에서, 완전 화음은 정지가 아니라, 그 반대로 역동적인 것이며, 이것은 다른 화음들로 이행할 수 있도록, 다른 화음들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무한하게 다시 나타나고 재결합 될 수 있도록 해준다.”

 

‘완전한 화음, 연속, 연장, 갱신, 다수화, 증식, 반영, 즐거움, 지복, 조화, 역동, 이행, 재결합…’되는 단자의 무한한 유희들은 기술적 형상이 구현되는 과정처럼 아름답다. 라이프니츠가 발명한 숫자를 통해 자연을 극복하려한 인간의 욕망은 이제 키보드와 마우스를 가지고 모니터 위에 0과 1로 유영하는 그림을 그린다. 그 옛날 알타미라 동굴의 벽화에서부터, 우주 만물의 생성과 변화의 원리를 음과 양이란 부호로 표시한 주역, 그리고 처음 세상을 창조한 창세기의 이야기가 세계와 인간을 매개하는 하나의 ‘상징형식’이었다면, 이제 기술적 형상은 도래할 세계를 꿈꾸게 하는 이미지이다. 이미지로 범람하는 ‘이-미지(未知)’의 세계에서 김영수가 <모나드Monad>展을 통해 설계하고 있는 프로젝트가 아닐까. 확인 불가능하지만 분명히 존재하는 단자(monad)들의 ‘자발성’과 ‘합주’를 굳게 믿고 있는 이 작가의 행보에 주목하는 이유이다.

bottom of page